반응형

인지왜곡 15

[셀프인지치료] 편히 쉬지 못하는 당신에게 - 시간을 낭비하는 것 같은 초조함 불안

나는 항상 시간에 쫓기는 듯한 느낌을 받고 살고 있다.특히 예전에 공부를 할 때는 늘 “공부해야하는데”라는 압박에 쫓기며 살았고직장인이 된 후에 저녁이나 주말에 시간이 생기더라도‘지금 뭔가를 해서 발전해야하는데’혹은‘금방 회사로 돌아가야 하니까 지금 최대한 놀아야하는데’ 라는 강박이 생겼다그래서 휴일을 휴일답게 못 쉬고 항상 죄스러운 마음으로 이것 저것 공부하고,그러다 보니까 번아웃이 자주 오게 되었다이번에는 그런 나의 쉬지 못하는 강박에 대한 (혹은 불편한 마음으로 쉬는 상태에 대한) 인지왜곡을 바로 잡아보고 싶다우선 인지왜곡의 종류부터 나열해보자:1. 전부 아니면 전무라는 생각2. 지나친 일반화3. 정신적 여과4. 긍정적인 것 인정하지 않기5. 지나친 비약으로 결론 내리기 a. 독심술의 오류 b...

[셀프심리치료] 팀워크가 어려울 때

내가 맡고있는 한 프로젝트의 팀원이 내게 말을 하지 않고 독단적으로 처리 했다.그 결과 일이 조금 꼬이게 되었는데, 사실 크게 꼬인 것은 아니지만 나는 나를 무시하는 행위라고 생각해서 심히 기분이 나빴다.팀원과 팀워크가 어려웠던 오늘 나의 감정을 돌아보며속상함을 인지치료로 셀프치료 해보려 한다.먼저, 저번에 살펴본 인지왜곡의 종류를 다시 보자.1. 전부 아니면 전무라는 생각2. 지나친 일반화3. 정신적 여과4. 긍정적인 것 인정하지 않기5. 지나친 비약으로 결론 내리기a. 독심술의 오류 b. 점쟁이 오류6. 침소봉대(파국화) 또는 과소평가7. 감정적 추론8. '해야 한다' 식 사고9. 낙인찍기, 엉뚱한 낙인 찍기10. 개인화그 후, 나의 생각을 하나씩 대입해 보자.생각 1.그 팀원(이제부터 A라고 부르..

[셀프심리치료] 퇴사전 준비에 대한 강박

오늘의 나를 불안하게 혹은 우울하게 만드는 생각들에 대해앞에서 소개한 인지왜곡을 적용해서자가진단? 및 자가 치료를 해보려고 한다.사실 자가치료 하면 엄청 거창하게 들리는데,하루 하루의 일기를 쓰듯 나의 힘든 마음을 들여다보고혹시 그 안에서 내가 달리 생각 할 수 있는게 있는지,나의 마음을 편안하게 할 수 있는게 있는지 내 마음을 탐구하는 마음 여행이라고 할 수 있겠다.순서는 오늘의 생각, 인지오류 찾아내기, 바뀐 생각이다.그럼, 출발~!오늘의 생각마음이 많이 불안하다.가슴이 두근 거리기도 하고, 아까 부터 안절부절 못하고 있다.아무 생각도 안하고 자거나, 이 감정을 그만 느끼고 싶다.나는 지금 왜 불안하지? 언제부터 이 불안한 생각이 들었지?퇴사를 하기전에 뭔가 경제적인 대비를 해 놓아야 하고,얼마전에 ..

[인지치료] 인지왜곡 - (10) 개인화

드.디.어!!필링 굿에 소개된 인지왜곡의 마지막 종류 까지 왔다!정말 길고도 긴 여정이었다 사실 그날 그날의 심리상태에 대해 인지치료를 쓰고 싶었는데,기본 틀을 잡고 시작하자! 라는 발상에서 시작한 소개가이렇게 길어질 줄이야… ㅎㅎ그렇지만 너무 바빠 책을 읽거나 공부 할 시간이 없는 사람,혹은 인지치료의 개념을 처음 접해 보는 사람이 이 글을 읽고 도움이 되면 좋겠다는 생각에 정리를 해보았다.내가 하는 인지왜곡의 소개는 기초 수준이니, 자세한 내용은 번즈박사의 필링굿이라는 책을 꼭 읽어보길 추천한다!자 그럼 드디어 마지막, 개인화에 대해 얘기해 보자.“개인화”라고 하면 언뜻 무슨 뜻인지 감이 안 올 수 있는데,영어로는 personalization이라고 할 수 있다.영어로도 감이 안오기는 비슷 한데. ㅎㅎ..

[인지치료] 인지왜곡 - (9) 낙인찍기

드디어 길고 긴 인지왜곡 시리즈의 끝이 보이려고 한다.하나씩 소개하려다 보니 10가지나 되었는데, 이제 드디어 그 9 번쨰!바로 낙인찍기 이다. 낙인찍기는 행동을 행동으로 보지 않고, 그 사람은 어떤 사람이다 라고 단정짓는 것이다.성경에 보면 죄를 미워하되 사람을 미워하지 말라는 말이 있는데,낙인찍기는 딱 그 반대의 말인 것 같다.죄를 사람과 동일시 하는 것이다.예를 들어, 내가 피곤해서 아침에 늦게 일어났다고 하자. 심지어 보통 떄는 곧잘 일어나는데, 너무 피곤해서 원래 일어나는 시간보다 늦게 일어났다고 하자.그러면 “아, 내가 피곤해서 늦게 일어났구나. 다음에는 이럴 떄를 대비해서 알람을 더 맞춰 놓자”라고 생각하면 될텐데,“아, 나는 게으름뱅이야!” 라고 생각하는 것이 낙인찍기 이다.나의 행동의 한..

[인지치료] 인지왜곡 - (8) ‘해야한다’식 사고

드디어 완벽주의의 결정체! “해야한다”식 사고에 왔다.이보다 더 완벽주의를 잘 표현 하는 말이 있을까?사실 완벽주의는 “해야한다”식 사고라기보단 “~하지 않으면 안돼!”라는 사고가 강하다.나는 착하지 않으면 안돼나는 열심히 하지 않으면 안돼나는 공부를 잘하지 않으면 안돼나는 사람들에게 인정 받지 않으면 안돼나는 살찌면 안돼어디서 많이 들어본 말이지 않은가?어릴때는 부모님으로 부터혹은 커서는 나 자신으로 부터.내가 나 자신으로 사랑 받는 것이 아닌,내가 완벽한 자신이 되지 않으면 안된다는 강박적인 생각.그 것이 바로 이 인지왜곡 “해야한다”식 사고 이다.사람들은 완벽주의가 마치 완벽한 사람이라고 착각한다사실은 완벽주의는 완벽한 사람이 되려하기 보단내가 잘못하거나 실패하는 것이 너무 두려워서, 그렇게 하지 ..

[인지치료] 인지왜곡 - (7) 감정적 추론

이 인지왜곡은 정말 많은 사람이 경험 하는 인지왜곡 일 것 같다.바로 “감정적 추론”이다.역시나 번역 때문인지 말이 너무 어려운데,쉽게 말하면 “내가 생각하는 것이 진짜라고 믿는 것”이다.요즘 “그게 팩트야”라는 말이 많이 쓰이는데사실과 의견을 혼동하지 말자는 의미로 많이 쓰이는 것 같다.이 감정적 추론을 발견하는 것도, “너가 생각하는 건 그냥 너의 뇌피셜이지 사실이 아니야!”라는 뜻이다.예를 들어, 중요한 면접이 있는데 버스가 늦게 올 같아 불안한 상황을 생각해보자.“내가 중요한 일이 있을 때 버스가 항상 늦으니 오늘도 버스가 늦을거야!”이런 생각은 사실 그냥 내가 면접을 늦을 까봐 불안한 것인데,마치 버스가 늦는 것이 사실인 것 처럼 생각 하는 것이다.사실 버스가 늦게 오는 것은 나의 통제상황 밖의..

[인지치료] 인지왜곡 - (6) 침소봉대(파국화) 또는 과소평가

이번 인지왜곡은 번역의 문제인지 이름이 조금 어려운데,침소봉대 (파국화) 또는 과소평가이다.파국화는 약간 과대망상(?)과 비슷한데,작은 일을 눈덩이 처럼 불리게 만들어서 엄청난 결과가 된다는 생각이다.쉽게 말하면, 뭐가 됐던 ”다 망했어!“ 라는 생각이랄까?가끔 내가 일을 할 때 실수를 하는게 두려울 때가 있다.내가 왜 이렇게 두려운가, 대체 실수를 하면 어떤 일이 생긴다고 생각하길래 두려워 하는 것인가 생각해보면(1) 일에서 실수를 한다 -> (2) 상사에게 지적당하고 동료들도 내가 일을 못한다고 생각한다 -> (3) 나는 또 일에서 실수 한다 -> (4) 이제 회사에서 내가 일 못하는게 소문이 난다 -> (5) 나는 직장을 잃는다 -> (6) 제대로 된 직장을 찾지 못한다 -> (7) 결국 나는 아무..

[인지치료] 인지왜곡 - (5) 지나친 비약으로 결론 내리기 - 점쟁이오류

점쟁이 오류 이 번에 살펴볼 것은 점쟁이 오류이다. 점쟁이 오류는 독심술의 오류와 비슷한데, 사람이 대상이 아니고 앞으로의 일이 대상이다. 영어로는 Fortune Telling이라고 하는데점쟁이가 미래를 맞추듯 미래의 일을 예견하는 것이다.그런데 그 것 아는가?우리는 점쟁이가 아니다! :) 예를 들어, 공항검색대에서 나는 수색을 한번 더 할 거야! 라고 생각 하는 사람들이 있다. 자신이 검색대에 특별히 걸릴 이유가 있지 않은 이상, 랜덤으로 걸릴 것인데, 나쁜 쪽으로 지레짐작하는 것이다. 점쟁이 오류를 범했을 때는 막상 걱정하는 일이 일어나지 않고 지나가는 적이 많다. 그러니 미리 겁먹고 부정적인 생각을 하면 좋지 않은 스트레스가 쌓이게 될 것이다. 특히 부정적인 생각을 했더니 나쁜 결과가 일어나지..

[인지치료] 인지왜곡 - (5) 지나친 비약으로 결론 내리기 - 독심술의 오류

지나친 비약으로 결론을 내리는 것은 Jumping to Conclusion이라고 해서, 성급한 결론 짓기 라고도 한다.결론으로 점프에서 빨리 결정 내려버리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완전히 같지는 않지만, 비슷한 말로 “답정너”와도 조금은 비슷하달까? 지나친 비약으로 결론을 내리는 것에는 크게 두 종류가 있다. 바로 독심술의 오류와 점쟁이 오류이다. 이번 포스팅에는 독심술의 오류를 보고, 다음 포스팅에 이어서 점쟁이 오류에 대해 다루도록 하겠다. 내가 셀프인지치료를 할 때 보면, 특히 독심술의 오류는 정말 자주 일어난다. 아마도 눈치보는 우리의 문화 때문이 아닐까 싶다. 자, 그럼 하나씩 살펴보자. 독심술의 오류 가끔 상대방이 어떤 생각을 하는지 넘겨 짚을 때가 있지 않은가? 그게 바로 독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