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감정적추론 4

[인지치료] 인지왜곡 - (9) 낙인찍기

드디어 길고 긴 인지왜곡 시리즈의 끝이 보이려고 한다.하나씩 소개하려다 보니 10가지나 되었는데, 이제 드디어 그 9 번쨰!바로 낙인찍기 이다. 낙인찍기는 행동을 행동으로 보지 않고, 그 사람은 어떤 사람이다 라고 단정짓는 것이다.성경에 보면 죄를 미워하되 사람을 미워하지 말라는 말이 있는데,낙인찍기는 딱 그 반대의 말인 것 같다.죄를 사람과 동일시 하는 것이다.예를 들어, 내가 피곤해서 아침에 늦게 일어났다고 하자. 심지어 보통 떄는 곧잘 일어나는데, 너무 피곤해서 원래 일어나는 시간보다 늦게 일어났다고 하자.그러면 “아, 내가 피곤해서 늦게 일어났구나. 다음에는 이럴 떄를 대비해서 알람을 더 맞춰 놓자”라고 생각하면 될텐데,“아, 나는 게으름뱅이야!” 라고 생각하는 것이 낙인찍기 이다.나의 행동의 한..

[인지치료] 인지왜곡 - (8) ‘해야한다’식 사고

드디어 완벽주의의 결정체! “해야한다”식 사고에 왔다.이보다 더 완벽주의를 잘 표현 하는 말이 있을까?사실 완벽주의는 “해야한다”식 사고라기보단 “~하지 않으면 안돼!”라는 사고가 강하다.나는 착하지 않으면 안돼나는 열심히 하지 않으면 안돼나는 공부를 잘하지 않으면 안돼나는 사람들에게 인정 받지 않으면 안돼나는 살찌면 안돼어디서 많이 들어본 말이지 않은가?어릴때는 부모님으로 부터혹은 커서는 나 자신으로 부터.내가 나 자신으로 사랑 받는 것이 아닌,내가 완벽한 자신이 되지 않으면 안된다는 강박적인 생각.그 것이 바로 이 인지왜곡 “해야한다”식 사고 이다.사람들은 완벽주의가 마치 완벽한 사람이라고 착각한다사실은 완벽주의는 완벽한 사람이 되려하기 보단내가 잘못하거나 실패하는 것이 너무 두려워서, 그렇게 하지 ..

[인지치료] 인지왜곡 - (7) 감정적 추론

이 인지왜곡은 정말 많은 사람이 경험 하는 인지왜곡 일 것 같다.바로 “감정적 추론”이다.역시나 번역 때문인지 말이 너무 어려운데,쉽게 말하면 “내가 생각하는 것이 진짜라고 믿는 것”이다.요즘 “그게 팩트야”라는 말이 많이 쓰이는데사실과 의견을 혼동하지 말자는 의미로 많이 쓰이는 것 같다.이 감정적 추론을 발견하는 것도, “너가 생각하는 건 그냥 너의 뇌피셜이지 사실이 아니야!”라는 뜻이다.예를 들어, 중요한 면접이 있는데 버스가 늦게 올 같아 불안한 상황을 생각해보자.“내가 중요한 일이 있을 때 버스가 항상 늦으니 오늘도 버스가 늦을거야!”이런 생각은 사실 그냥 내가 면접을 늦을 까봐 불안한 것인데,마치 버스가 늦는 것이 사실인 것 처럼 생각 하는 것이다.사실 버스가 늦게 오는 것은 나의 통제상황 밖의..

[완벽주의 타파] 셀프 인지치료 - 퇴사, 불안

어제 자기 전에 너무 불안감이 엄습해와서 쉽게 잠이 들지 못했다.침대에 누워서 간단하게 기분에 대해 메모를 해보았는데그걸 바탕으로 자동적 사고에 대해 분석해보려 한다.나를 불안하게 한 생각:자꾸 녹초가 되고 기분이 저조하다. 회사때문이라고 생각해서 퇴사를 해야지 하고 결심을 했는데, 곧 주말인데도 이러는 것을 보면 회사 때문이 아니면 어떻게 하지? 막상 퇴사했는데도 우울감과 불안감이 나아지지 않으면 어떻게 하지? 괜히 안정된 직장을 버리는 것인가? 그러면 앞으로 나는 아무일도 못하는 사람이 되면 어떻게 하지?일단 이렇게 나의 불안한 생각을 쓰는 것만으로도 꽤 도움이 된다.그럼 이제 내가 객관적으로 잘못 생각 한 것은 없는지, 즉 인지왜곡이 있는지 살펴보자.자꾸 녹초가 되고 기분이 저조하다. 회사때문이..

반응형